[골프잔디관리론]11.해충의 특징과 방제법...토양해충이 주류
[골프잔디관리론]11.해충의 특징과 방제법...토양해충이 주류
  • 골프비즈뉴스
  • 승인 2020.05.12 08:3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블랙스톤 벨포레CC
블랙스톤 벨포레CC

골프장의 평가기준은 다양하지만 디자인과 잔디관리에 가장 민감하다. 특히 잔디만 좋으면 골퍼들은 대부분 만족한다. 이 때문에 골프장들은 앞다투어 티잉 그라운드를 비롯해 페어웨이, 그린에 신경을 곤두세운다. 일선의 그린키퍼 등 코스관리직원을 불철주야 잔디에 매달린다. 잔디는 병해뿐 만아니라 해충에도 시달린다. 다음은 한국골프장경영협회 부설 한국잔디연구소(소장 심규열)의 연구원들이 골프장 코스관리직원들에게 들려주는 잔디관리에 필요한 핵심적인 사항들이다.(편집자주) 

주요 잔디 해충 종류는 1.주둥무늬차색풍뎅이, 2.등얼룩풍뎅이, 3.녹색콩풍뎅이, 4.검거세미밤나방, 5.잔디밤나방, 6.잔디포충나방, 7.멸강나방, 8.애노랑굴파리류, 9.땅강아지 등이다.     

잔디해충 가해 모식도
잔디해충 가해 모식도

국내 잔디산업이 발전함과 더불어 잔디관리, 유지 문제가 중요시되고 있다. 최근 골프장의 잔디해충에 대한 방제 필요성에 의해 잔디 해충의 생태나 방제에 관한 체계적인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잔디해충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보인다. 

1.중요한 잔디해충은 토양해충이다. 
토양해충에 의한 피해가 토양중에서 일어나는 경우에는 피해가 확대되는 과정을 계속해서 관찰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그래서 피해를 눈치채게 될 때에는 그 주원인에 많은 부원인이 중복돼 정확한 원인을 밝혀내기가 곤란한 경우가 적지 않다. 또 토양해충에 의한 피해는 뿌리에서 먼저 일어난다. 그래서 지상부에서도 피해가 심해진 때에는 이미 먹이가 모자라 해충이 다른 곳으로 이동하거나 해충간에 동족상살 등이 일어나 그 밀도가 극도로 감소한 경우가 많다. 특히 해충의 일생이 길거나 또는 긴 유충기간을 토양중에서 지내는 해충에 대해서는 그 피해의 실태가 파악되지 않은 채 병해나 잔디의 생리장해 등과 혼동하는 경우가 많다. 

2.성충과 유충의 먹이가 다르다. 
풍뎅이류에서 유충은 잔디의 뿌리를 가해하지만 성충은 잔디 이외의 식물을 섭식하는 것이 많다. 그래서 풍뎅이류에서는 성충이 잔디에서 우화하면 먹이식물이 있는 장소까지 날아가 섭식활동을 해야만 증식과 산란이 이뤄진다. 그런데 골프장 안에는 성충의 먹이식물이 식재돼 있어 산란과 증식이 쉽게 이루어진다. 또한, 골프장에 인접한 곳에 성충의 먹이식물이 있으면 여기에서 발생한 성충이 잔디밭에 날아와 산란, 증식이 이루어지는데 넓은 면적의 잔디밭에서는 작은 성충의 이동을 확인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 더욱이 비행거리가 큰 것에서는 계속적인 관찰이 사실상 어렵다. 

3.성충의 활동이 야행성이다. 
유충이 아무리 토양해충으로 있어도 성충이 주행성이라면 눈에 띄기 쉽다. 그러나 잔디해충의 대부분은 성충의 지상 출현이 야간에 이루어지기 때문에 대발생해도 사람 눈에 띌 기회가 적다. 그래도 성충에 주광성이 있으면 예찰등에 유살돼 그 발생소장을 파악할 수 있다. 그런데 주광성조차 없는 것은 그 성충의 발생소장을 알아내기가 매우 곤란하다. 더욱이 성충이 일정한 밤 시간대에만 한정해 지상에 출현하는 경우에는 발생을 관찰하기가 쉽지 않다.  

■용어해설

※섭식(feeding, 攝食)=초식동물에 의한 섭식활동. 좁은 뜻으로는 초식동물이 초본성의 식물을 ‘뜯어 먹는’ 것을 의미하고 목본성 식물의 잎, 줄기, 새싹 등을 선택적으로 갉아먹는(browsing) 경우와 구별한다. 섬식활동은 잠자리가 먹이를 취하는 행동.

※예찰(forecasting, prediction, 豫察)=병원균, 해충의 밀도, 현재의 발생상황, 작물의 생육상태, 기상예보 등을 고려해서 앞으로 병해충 발생이 어떻게 변동될지를 예측하는 것.

※유살법(luring method, 誘殺法)=해충의 특수한 습성 및 주성 등을 이용하거나 또는 유살물질(유인미끼), 유살기구 등에 의하여 유살시키는 방법.

※주광성([phototaxi, 走光性)=주광성은 주성(taxis) 운동의 일종으로 생물체가 빛으로부터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움직임을 일컫는데, 빛을 최대한 흡수할 수 있도록 개체의 위치를 변화시킬수 있기 때문에 광합성 생물에게 있어서 이점이 있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