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프코스관리론]3.수목병해와 예방-향나무녹병 붉은별무병
[골프코스관리론]3.수목병해와 예방-향나무녹병 붉은별무병
  • 서우현 전문위원
  • 승인 2020.04.26 11:4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코스 및 수목관리가 잘 된 티클라우드CC
코스 및 수목관리가 잘 된 티클라우드CC

봄철에는 잔디관리뿐 아니라 병충해 예방에도 신경을 곤두세워야 하는 계절이다. 그린키퍼 등 코스관리 직원들은 잔디 등 최상의 코스컨디션을 위해 불철주야 노력을 기울인다. 관수나 예초작업과 더블어 나무에 생길 수 있는 병충해를 예방하거나 치료를 위해 밤낮을 가리지 않는다. 특히 봄에는 나무에 끼치는 온갖 병해가 마를 날이 없다. 봄에 나타나는 병충해는 어떤 것이 있을까. 한국잔디연구소(소장 심규열)의 연구원들이 코스관리자들에게 알려주는 병충해 및 예방, 치료를 소개한다.(편집자주)

봄에 잘 나타나는 병충해는 침엽수류와 활엽수류로 나뉜다.  

침엽수류 병해로는 1.그을음잎마름병(煤葉枯病), 2.피목가지마름병(皮目枝枯病), 3.향나무녹병 붉은별무(赤星病) 등이다.
 
활엽수류 병해는 4.부란병(腐爛病), 5. 대추나무, 오동나무빗자루병(天狗巢病), 6.장미잿빛곰팡이병(灰色黴病) 등이다.

■3.향나무녹병 붉은별무병(赤星病, Cedar-apple rust)  
▲병원균명 : Gymnosporangium asiaticum Miyabe ex Yamada 
▲분포 : 한국, 일본, 중국 
▲피해수종 : 향나무류, 명자나무, 모과나무, 배나무류, 산사나무, 큰윤노리나무, 사과나무, 꽃사과, 야광나무류 

▶피해 

작은 가지의 분지점 또는 잎과 잎 사이에 발생한다. 4월경 향나무류에 자갈색의 겨울포자퇴가 수피를 뚫고 나오며 비가 오거나 수분이 많아지면 한천 모양으로 부푼다. 피해목은 수세가 약해지고 심한 경우 가지 및 줄기를 고사시키기도 한다. 

장미과 식물 중 배나무류, 사과나무류 등에 발생하여 과일의 질을 저하시키며 붉은별무늬병으로 잘 알려져 있다. 조경수인 명자나무, 산당화, 산사나무, 야광나무 등에서도 잎의 앞면에 붉은 반점이 형성되고 뒷면에는 털 모양의 녹포자퇴를 형성하여 미적 가치를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조기에 낙엽이 되어 생장이 저하된다. 

▶병징과 표징 

4~5월경 향나무의 잎과 줄기에 혀 모양의 자갈색 돌기(겨울포자퇴)가 형성된다. 비가 와서 수분을 흡수하면 황색~황갈색의 한천 모양으로 부푼다. 이 때 겨울포자는 발아해 전균사를 내고 소생자를 형성하고, 중간기주인 장미과 식물로 옮겨간다. 6~7월 장미과 식물의 잎과 열매 등에 노란색의 작은 반점이 다수 나타나고 그 중앙에 흑색점(柄子器)이 형성된다. 또한 잎 뒷면에는 회색~담갈색의 털과 같은 돌기(녹포자퇴)가 형성되고 그 안에서 녹포자가 형성된다. 이 녹포자는 다시 향나무로 날아가서 향나무 잎과 줄기 속에 침입하여 살다가 균사 형태로 월동한다.

▶병원균과 병환 

담자균류에 의한 수병으로서 우리나라에서는 향나무, 배나무류, 모과나무, 명자나무류 등에 발생하는 G. asiaticum과 향나무, 사과나무류, 야광나무에 발생하는 G. yamadae 2종이 큰 피해를 주고 있다. G. asiaticum(=G.haraeanum)의 병자기는 직경 3mm 내외의 자갈색 병반 내에 군집하여 표피조직 밑에 형성된다. 병자는 주로 타원형~장타원형이나 간혹 방추형이며 크기는 4.5~11.5×2.0~4.5㎛이다.

녹포자퇴는 병자기의 잎 뒷면의 갈색병반 위에 총생해 원통형으로서 크기는 3~8mm, 폭 0.2~0.5mm이다. 겨울포자퇴는 향나무의 잎과 줄기의 조직 밑에 형성되며 직경은 1.5~3.0mm이다. 겨울포자는 타원형으로 1개의 격막이 있고, 크기는 38.5~58.5×14.0~24.2㎛이다. 건조한 상태에서는 암갈색을 띠나 습기를 흡수하게 되면 황갈색을 띤다. 

4~5월경부터 6~7월까지 중간기주인 배나무류, 사과나무류와 모과나무류에 기생하고 7월 이후에는 향나무류에 기생하여 균사 형태로 월동한다. 4~5월 비가 오면 향나무에 기생한 겨울포자퇴는 수분을 흡수하여 한천 모양으로 부푼다. 이 때 겨울포자가 발아하여 소생자를 형성한다. 소생자는 바람에 비산하여 중간기주의 잎, 어린 가지, 열매 등의 각피를 통해 침입하여 5월 중순~하순경에 병징을 나타낸다. 배나무 잎 표면의 자웅동주성 구조체인 녹병자기(精子殼, spermagonium. 柄子器, pycnium)는 웅성의 병포자(柄胞子, pycnospore. 精子, spermatium)와 자성의 수용균사(受容菌絲, receptive hyphae)로 되고 곤충에 의해 다른 녹병자기로 옮겨져 수정한다.

7월에는 잎 뒷면에 녹포자기(銹胞子器, aecium)를 형성하고 그 안에 2핵체인 녹포자(銹胞子, aeciospore)가 형성된다. 7월 하순~10월 녹포자는 바람에 날려 향나무류의 잎에 기생하여 월동한다. 이듬해 3월경 녹포자는 발아해 향나무의 가지를 침해하고 늦여름 가지에 작은 혹을 나타낸다. 2년째 4~5월경 겨울포자퇴, 겨울포자 및 소생자가 형성된다. 병원균은 향나무류에서 약 21개월, 사과나무에서는 3개월 정도 생활한다. 또한 향나무에 생긴 혹은 2~3년간 전염력을 갖는다. 향나무에서의 겨울포자퇴는 4월 중순경 비가 오면 부풀고 반영구적으로 기생하면서 전염원이 된다. 

겨울포자의 발아적온은 13~20℃이고 7℃ 이하 또는 30℃ 이상에서는 발아되지 않는다. 겨울포자는 20℃에서 적당한 습기가 있으면 2~4시간만에 발아해여 소생자를 형성하고 소생자는 배나무로 옮겨 2시간 후에 발아하여 각피를 뚫고 침입한다. 이 소생자의 유효 전반거리는 1.5km 정도인데, 가까울수록 감염률이 높다. 한 연구 조사에 의하면 100m 떨어진 배나무에서는 98%가 감염되었는데 500m, 1km에서는 각각 51%, 5%로 격감하였고 2km에서는 발병하지 않았다고 한다. 

▶방제

향나무가 식재된 지역에서는 배나무, 사과나무, 명자나무, 산사나무 등 장미과 식물을 심지 않도록 하며, 향나무와는 2km 이상 떨어진 곳에 심는다. 

겨울포자퇴의 성숙과 겨울포자의 발아를 막기 위하여 3월 하순~4월 상순 향나무에 석회유황합제, 탄저병약 만코지수화제 40g/물 20ℓ, 기타 탄저병약을 살포하거나 녹포자의 비산기인 7월 초순부터 6두식 석회보르도액을 뿌려 감염을 예방한다. 배나무붉은별무늬병에는 4월 20일경부터, 사과나무붉은별무늬병에는 4월 하순~5월 중순 비오기 전 또는 비온 직후에 2~3회 살포하면 효과적이다. (자료제공=한국잔디연구소)

■용어해설
※자식성 자웅동주성=담자포자 하나가 발아하여 다른 균주와 교배를 하지 않아도 임성을 갖는 것을 말한다. 

※병포자(pycnospore, 柄胞子)=불완전균 중 병자각속에 들어 있는 분생포자.

※총생(叢生, bunch)=풀이나 나무가 무더기로 더부룩하게 남. 초목의 그루나 줄기에서 싹이 돋아 오름. 여러 개의 잎이 짤막한 줄기에 무더기로 붙어난 것.

※소생자(小生子, sporidium)=소생자 생명과학대사전 녹균의 동포자 및 흑수균(黑穗菌)의 흑수포자가 발생해 생기는 전(前)균사체(일종의 후담자기)에 생기는 포자의 일종. 이론적으로는 일종의 담자포자이다. 녹균의 소생자는 대부분의 담자포자와 마찬가지로 이것을 지탱하는 소병(小柄)에서 튀겨지는 사출포자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한편, 흑수균의 소생자의 대부분은 사출되지 않는다.

 

 


관련기사